이전에 진행하던 연구에서 단순 t-test로는 더이상 진행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.
근데 이건 엄밀히 통제된 데이터가 아니라서 그런지 등분산도, 정규분포도 아니라서 ANOVA도 쓸 수 없었다.
무슨 모델을 써야 하는가? 등잔밑이 어둡듯 인용한 논문에 이미 적혀있었던 것... 혼합효과모델이었다.
파이썬으로 구현하려고 쌩쇼를 하다가 R을 깔아서 lmer() 돌리니까 너무나 쉽게 처리된다.
SPSS와 다르게 R은 완전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.
R은 신이다.
반응형
'러시아 > 러시아어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음성학] 하루종일 파이썬 (8) | 2024.12.15 |
---|---|
듀오링고 폴란드어 (1) | 2024.12.09 |
2023-2학기 기말레포트 (등급성 반의어, 게임리뷰 감성분석, 음성학) (1) | 2023.12.30 |
[PSl] 팔자에도 없었던 원시슬라브어 공부를 미리 해버린 건에 대하여 (5) | 2023.11.20 |
러시아 중고거래 직구 포기 실패기 (러시아로 송금 보내는 방법 / 러시아에서 한국으로 해외배송 보내는 방법) (2) | 2022.09.30 |